주변에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콘택트렌즈는 크기가 작고 투명해 사람들이 쉽게 세면대나 변기에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렇게 버려진 콘택트렌즈는 하수처리장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크기가 작고 부드러운 콘택트렌즈는 필터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결국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바다나 강으로 이동, 수중생물이 섭취하면서 결국 우리의 식탁으로 올라와 인간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무심코 우리가 버린 콘택트렌즈가 결국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지구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콘택트렌즈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
2018년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 환경보건공학센터의 한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콘택트렌즈 사용자 중 15~20%가 사용 후 콘택트렌즈를 변기나 하수구에 버린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에서 하수처리시설로 흘러드는 일회용 콘택트렌즈가 한 해 22톤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바다 밑에 가라앉은 렌즈들은 해양 생물들이 통째로 삼키거나, 시간이 지나 분해되어 미세 플라스틱이 된다.
콘택트렌즈는 기본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드는데, 사용 기간이 짧은 소프트렌즈의 소재 역시 플라스틱에 해당하는 하이드로겔과 실리콘 하이드로겔이다. 그래서 콘택트렌즈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생분해되지 않을 뿐 아니라 필터를 통해 걸러지는 것도 쉽지 않다. 결국 세면대나 변기 등에 버려진 콘택트렌즈는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환경뿐 아니라 인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우리가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제대로 분리배출을 해야 하는 이유이다.
콘택트렌즈, 환경에 영향을 덜 주는 방법
올바른 콘택트렌즈 폐기법(+안경)
콘택트렌즈는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로 세면대나 변기가 아닌 일반 쓰레기로 분리해서 버려야 한다. 꼭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한다. 안경과 렌즈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크기가 작고, 배출량이 적어서 따로 선별 또는 재활용되지 않는다. 또한 안경테는 복합 플라스틱 또는 복합 금속이므로 재활용이 불가하다. 그냥 버리기 아깝다면 기부단체(안경)에 기부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콘택트렌즈 포장재 분리배출 방법
렌즈를 담고 있던 포장재도 올바르게 분리배출해야 한다. 렌즈 포장재는 플라스틱 소재의 케이스와 알루미늄 소재 포장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각 분리해 재활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분은 플라스틱 재활용함에, 알루미늄 부분은 금속 재활용함에 따로 버려야 한다. 다만, 재활용할 때는 포장에 남은 렌즈 액체를 비우고 헹군 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 비전케어기업 아큐브는 2023년 5월, 콘택트렌즈 패키지 비닐 포장재를 전면 제거했다. 아큐브는 지속 가능한 미래 만들기에 앞장서고자 콘택트렌즈 전 제품의 패키지 비닐 랩핑 과정을 없애기로 결정했고, 이 같은 포장 간소화를 통해 연간 약 10톤의 비닐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일회용 렌즈 사용 줄이기
일회용 렌즈보다는 일주일 또는 한 달 등 사용 주기가 긴 렌즈로 바꿔 쓰레기를 줄일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렌즈의 개수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포장재도 줄일 수가 있다.
'친환경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집을 친환경적으로 따뜻하게, 그리고 시원하게 하는 방법 (4) | 2025.01.29 |
---|---|
운전 할 때 에어컨을 켜는 것과 창문을 여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친환경적일까? (0) | 2025.01.28 |
친환경 부엌 만들기(3) 우리집 냉장고,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3) | 2025.01.26 |
친환경 부엌 만들기(2) 가스레인지와 하이라이트, 인덕션 중 어느 것이 더 친환경적일까? (3) | 2025.01.25 |
친환경 부엌 만들기(1) 손 설거지와 식기세척기 어느 것이 더 친환경적일까? (2) | 2025.01.24 |